“n8n을 활용한 무료 웹 스크래핑: 유료 API 없이 웹사이트 데이터 추출하는 방법”
안녕하세요. 이 글은 유튜브채널 “Bart Slodyczka”에서 공개한 “How to Scrape Websites Without Paid APIs Using n8n” 관련 동영상을 정리한 것입니다. 이 글의 정리 목적은 저희가 필요할 때 자체 검색용, 그리고 참고 목적으로 약식 정리한 것이므로, 개괄적인 내용만 정리했습니다. 세부적이고 보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조하여 해당 동영상을 직접 시청하세요.
웹 스크래핑 소개
이 동영상은 유료 API 서비스 없이 웹 스크래핑을 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. 기본적으로 웹사이트에 직접 요청을 보내고 관련 URL을 찾아 콘텐츠를 수집하는 기계적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. 수집된 콘텐츠는 구글 시트에 저장되어,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원하는 특정 데이터 유형을 추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사용 사례
이 방법의 두 가지 주요 사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. 첫 번째는 이미 유료 API 스크래핑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지만 비용이 너무 비쌀 때 대안으로 사용하는 것이며, 두 번째는 스스로 웹사이트를 스크래핑 하려는 경우로, 보다 세밀한 데이터 통제권이 필요한 경우입니다.
웹사이트 탐색 및 URL 찾기
웹사이트를 탐색할 때, 기본 URL을 가지고 시작합니다. 예를 들어, 메뉴 섹션에 들어가서 원하는 정보에 따라 링크를 클릭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 경우, 해당 웹사이트의 모든 URL을 찾아서 콘텐츠를 스크랩하려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. 기본적으로 robots.txt 파일과 XML 사이트맵을 참조하여 웹사이트의 구조와 URL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robots.txt와 XML 사이트맵
robots.txt는 웹사이트 소유자가 구글과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파일로, 어떤 정보가 스크랩되거나 표시될 수 있는지를 지시합니다. URL 뒤에 robots.txt를 추가하여 이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해당 파일에서 사이트 맵의 위치를 찾은 후, XML 사이트맵을 통해 웹사이트의 카테고리 및 URL 목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스크래핑 플로우
첫 번째 단계로 URL을 가져온 후, robots.txt 파일을 확인하여 사이트맵을 찾아냅니다. 이후, 사이트맵에서 모든 URL을 추출하고, 구글 시트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. 이 과정에서 다양한 웹사이트 유형에 맞게 알고리즘을 최적화하여 검토할 수 있습니다. 필요에 따라 여러 사이트맵 구조를 가정하며, 페이지를 효율적으로 탐색합니다.
URL 데이터 수집 및 처리
페이지를 탐색하면서 수집한 URL을 클릭하여 HTML 콘텐츠를 마크다운 형식으로 변환한 후, 구글 시트에 정리합니다. 모든 페이지에서 추출한 데이터는 시트에 정리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합니다. 때로는 데이터가 너무 커서 구글 시트에서 제한에 걸릴 수 있으므로,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또한 고민해야 합니다.
결론
유료 API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요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이 접근법은 유용합니다. 각 웹사이트의 구조와 유형에 따라 방법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, 직접 구현해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입니다.
세부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해당 동영상 시청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동영상 게시일: 2025-02-16
동영상 링크: 여기에서 확인하세요